예술감독
홍석원
Seokwon Hong
예술감독 프로필
부산시립교향악단 수석객원지휘자 홍석원은 ‘젊은 명장’이라는 찬사와 함께 한국 음악계를 이끄는 지휘자로 손꼽힌다. 탁월한 음악성과 다양한 음악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관현악 레퍼토리는 물론 현대음악과 오페라의 깊이 있는 해석으로 국내외에서 명성을 얻고 있다.
홍석원은 서울대학교 작곡과에서 지휘를 전공하였으며, 베를린 국립음대 지휘과 디플롬(Diplom) 과정과 최고연주자과정(Konzertexamen)을 졸업했다. 카라얀 탄생 100주년 기념 지휘 콩쿠르에서 3위로 입상을 비롯하여 독일음악협회가 선정하는 ‘미래의 마에스트로’에 선발되는 영예를 안았으며,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티롤 주립극장의 수석 카펠마이스터로 활약했다. 특히 오스트리아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작품이자 자존심인 요한 슈트라우스의 오페레타 <박쥐>로 데뷔하면서 현지 음악계의 뜨거운 관심과 주목을 끌었다. 이때 티롤 주의 대표적인 매체인 『티롤러타게스짜이퉁(Tiroler Tageszeitung)』은 “환상적인 음악! 지휘자 홍석원은 모든 관객을 춤추게 했다”라고 평했고, 유럽 오페라 전문 잡지 『메르케어(Merker)』는“지휘자 홍석원은 오케스트라가 가장 이상적인 슈트라우스 소리에 도달하도록 했다.”라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유럽에서 먼저 입증된 홍석원의 리더십은 국내 음악계의 다양한 활동으로 이어졌다. 2021년 광주시립교향악단 제13대 상임지휘자로 취임하여 3년간 봉직 당시, 피아니스트 임윤찬과 함께 『베토벤, 윤이상, 바버』음반을 도이치 그라모폰 레이블에서 발매하여 발매 당일 플래티넘을 달성해 한국 클래식 음악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며,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13번 <바비 야르> 한국 초연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또한 무대예술의 결정체인 오페라 분야에서 유럽의 무대에서 갈고 닦은 솜씨를 가감 없이 발휘했다.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오페라 <동백꽃 아가씨, La Traviata>와 국립극장 재개관 기념 오페라 <나부코>를 이끌었으며, 베르디 <시칠리아의 저녁기도> 한국 초연했다. 굵직한 오페라 프로덕션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4년 제3회 대한민국 오페라 어워즈 지휘자 상을 수상해 오페라 지휘자로서의 독보적인 위상을 확고하게 다졌다. 이후 부산시립교향악단의 제12대 예술감독으로 취임하여 말러 교향곡 제2번 <부활>을 선보이며 활력이 넘치는 부산시향의 음악을 부산시민에게 선사한 바 있는 홍석원은 다가오는 9월 말, 세계적으로 저명한 음악축제인 무직페스트 베를린의 폐막무대와 BR 무지카 비바의 무대에 부산시향과 함께 오를 예정이다. 지휘자 홍석원은 2025년 9월부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지휘전공 교수로 재직중이다.